골드 알뤼르

덤프버전 : (♥ 0)

골드 알뤼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 펼치기 · 접기 ]

유슌상
1984 · 1985
안드레 아몬
1986
라이프 타테야마
JRA상
1987 · 1988
없음
1989
다이나 레터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없음
1993
메이쇼 호무라
1994
후지노 맛켄 오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1997
없음
1998
윙 애로우
1999
없음
2000
윙 애로우
2001
쿠로후네
2002
골드 알뤼르
2003 ·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카네 히키리
2006
아론다이트
2007
버밀리언
2008
카네 히키리
2009
에스포와르 시티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니혼 필로 아워즈
2013
벨샤자르
2014
홋코 타루마에
2015
코파노 리키
2016
사운드 트루
2017
골드 드림
2018
르 방 스 레브
2019
크리소베릴
2020
추와 위저드
2021
티오 케인스
2022
카페 파라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 2020년에 활약한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100두'를 선정
1위
딥 임팩트
2위
아몬드 아이
3위
오르페브르
4위
키타산 블랙
5위
보드카
6위
콘트레일
7위
골드 쉽
8위
티엠 오페라 오
9위
젠틸돈나
10위
로드 카날로아
11위
킹 카메하메하
12위
다이와 스칼렛
13위
오쥬 쵸산
14위
쿠로후네
15위
부에나 비스타
16위
데어링 택트
17위
리스 그라슈
18위
소다시
19위
키즈나
20위
세자리오
[ 21~100위 ]

21위
하츠 크라이
22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23위
럭키 라일락
24위
크로노 제네시스
25위
모리스
26위
그란 알레그리아
27위
아그네스 타키온
28위
저스터웨이
29위
빅투아르 피사
30위
키세키
31위
두라멘테
32위
아그네스 디지털
33위
아파파네
34위
사토노 다이아몬드
35위
스테이 골드
36위
다이와 메이저
37위
정글 포켓
38위
에피파네이아
39위
피에르망
40위
드림 저니
41위
맨해튼 카페
42위
사투르날리아
43위
메이쇼 삼손
44위
월드 프리미어
45위
카네 히키리
46위
와그네리안
47위
나카야마 페스타
48위
네오 유니버스
49위
스윕 토쇼
50위
에이신 플래시
51위
어드마이어 그루브
52위
젠노 롭 로이
53위
히시 미라클
54위
탭 댄스 시티
55위
마카히키
56위
듀랜달
57위
레이 데 오로
58위
타니노 김렛
59위
버밀리언
60위
하프 스타
61위
아에롤리트
62위
마츠리다 고흐
63위
홋코 타루마에
64위
논코노 유메
65위
페노메노
66위
파인 모션
67위
인디 챔프
68위
메이쇼 도토
69위
렛츠 고 돈키
70위
카렌짱
71위
살리오스
72위
원 앤 온리
73위
마리알라이트
74위
컴퍼니
75위
놈코어
76위
레인보우 라인
77위
스틸 인 러브
78위
다논 더 키드
79위
러브즈 온리 유
80위
디어드러
81위
코파노 리키
82위
블래스트 원피스
공동 83위
로고타입 · 스와브 리처드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문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마스
87위
골드 알뤼르
88위
미키 퀸
89위
업 투 데이트
90위
러블리 데이
91위
에포카 도로
92위
스노우 드래곤
93위
알 아인
94위
스크린 히어로
95위
윈 브라이트
96위
이슬라 보니타
97위
모즈 애스콧
98위
야마닌 슈크르
공동 99위
에스포와르 시티 · 다논 프리미엄

설명 및 분류 · 드림 호스 2000





파일:nar_clear1.png NAR 그랑프리 더트 그레이드 경주 특별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nar_clear1.png 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펼치기 · 접기 ]

1995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토케이 니세이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기후현 문장.svg 화이트 나루비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파일:도쿄도 문장.svg 이나리 토우자이
2000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하이세이코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노보 잭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알뤼르
2003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로지타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4
파일:히로시마현 문장.svg파일:시마네현 문장.svg파일:Anglo-Arabian-Brand.png 니혼카이 로렐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임 패러독스
200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 파일:미국 국기.svg 밀 조지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파일:가나자와시 시장.svg파일:기후현 문장.svg 와카오 라이덴
2008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하스피탈리티
2009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 파일:효고현 문장.svg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Anglo-Arabian-Brand.png 타가미 호마레
2010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코스모 벌크
201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스 타임 · 파일:기후현 문장.svg파일:도쿄도 문장.svg 후지노 웨이브
2014
파일:기후현 문장.svg 라이덴 리더 · 파일:미국 국기.svg 어주디케이팅
2015
파일:기후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구리 로망
2016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 파일:도쿄도 문장.svg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이나리 원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사우스 비고러스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마르슈 로렌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



이름ゴールドアリュール
Gold Allure
출생1999년 3월 3일
죽음2017년 2월 18일 (18세)
성별수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선데이 사일런스(Sunday Silence)
어미니키야(ニキーヤ)
외조부누레예프(Nureyev)
성적16전 8승 (8-1-1-6)
12전 5승[중앙]
4전 3승[지방]
총상금4억 1037만 6000엔
2억 1037만 6000엔[중앙]
2억 엔[지방]
주요
우승
G1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03)
통일 G1재팬 더트 더비(2002)
더비 그랑프리(2002)
도쿄대상전(2002)
G3안타레스 스테이크스(2003)
주요 수상2002년 JRA 최우수 더트 호스
2002년 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2002년 더트 그레이드 경주 최우수마
주요 산구에스포와르 시티(2005)
스마트 팔콘(2005)
코파노 리키(2010)
골드 드림(2013)
크리소베릴(2016)
나란 훌레그(2016)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2세 (2001년)
3.2. 3세 (2002년)
3.3. 4세 (2003년)
3.4. 종마 시절
3.4.1. 주요 산구
3.4.2. Broodmare Sire(BMS) 산구
4. 여담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파일:Gold_Allure_Portrait.jpg
내일의 이야기
明日の物語
2019년 명마의 초상

내일의 이야기

전화를 미워해도

병을 원망해도

잃어버린 시간이

돌아올 일은 없다

하지만 한탄하지 마라

그때 그렸던 꿈을

그대가 남긴 희망이

지금 뒤쫓고 있다

이야기는 계속된다

흙먼지 너머로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선데이 사일런스의 산구 중에서 유일한 더트 G1/Jpn1 우승마다.[1] 자마도 주로 더트 G1/Jpn1 우승마를 많이 배출했으며, 자마인 크리솔라이트가 한국에서 종마 생활을 하고 있다.

마명은 '황금의 매력'이라는 뜻으로, 영어 발음과 프랑스어 발음이 합쳐진 독특한 이름이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전부 영어 발음인 골드 알루어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로
Halo
1969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 투 리즌
Hail to Reason
코스마
Cosmah
위싱 웰
Wishing Well
1975
파일:미국 국기.svg
언더스탠딩
Understanding
마운틴 플라워
Mountain Flower
니키야
Nikiya
1993
파일:미국 국기.svg
누레예프
Nureyev
1977
파일:미국 국기.svg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스페셜
Special
릴럭턴트 게스트
Reluctant Guest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호스티지
Hostage
베이글리 로열
Vaguely Royal
* 노던 댄서 3×5 15.625%
* 앨마무드 4×5 9.375%


3. 생애[편집]



3.1. 2세 (2001년)[편집]


데뷔전에서 3착한 후 두 번째 경주에서 첫 승리를 거뒀다. 연말에는 타케 유타카와 함께 오픈 경주인 호프풀 스테이크스[2]에 1번 인기로 출전했지만 4착을 거뒀다.


3.2. 3세 (2002년)[편집]



파일:nar_clear1.png 2002년 NAR 통일 GI 대회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리젠프 블러프 카네츠 플뢰브 골드 알뤼르 골드 알뤼르 토호 엠퍼러 어드마이어 돈 스털링 로즈 유토피아 골드 알뤼르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3세가 된 후에도 3연패를 거두자 결국 더트로 전향했다. 여기서 내리 2연승을 거두며 잔디보다 더트에 적성이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하지만 진영은 일본 더비에 도전하기로 하면서 다시 잔디 경주에 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결국 잔디 마장을 극복하지 못하고 타니노 김렛심볼리 크리스 에스 등에 밀리며 5착을 거뒀다.

다시 더트로 돌아온 골드 알뤼르는 타케를 다시 태우고 오오이 경마장의 재팬 더트 더비에 도전했다. 시작부터 선두를 잡고 그대로 2착마와 7마신 차이로 벌리며 레이스 레코드로 첫 G1 승리를 따냈다. 여름 휴양 후 모리오카 경마장의 더비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여기서도 도주하여 10마신 차로 승리를 따내면서 최초의 양대 더트 더비마가 되었다.[3]

재팬 컵 더트에선 동기이자 아사히배 우승마인 어드마이어 돈과 맞붙게 되며 주목을 받았고, 그에 이은 2번 인기를 받았다. 골드 알뤼르는 마지막 직선에서 먼저 치고 나왔고 어드마이어 돈이 뒤따랐으나, 안쪽에서 올라온 이글 카페가 무서운 기세로 둘을 제치며 우승을 차지했고 골드 알뤼르는 어드마이어 돈에게도 뒤쳐지며 5착을 거뒀다.

연말의 도쿄대상전에선 이글 카페와 어드마이어 돈이 회피하여 압도적인 1번 인기로 출전했고, 여기서 2착마 비와 신세이키에 1마신 반 차이로 1착하면서 세번째 G1 승리를 따냈다. 그해 JRA상에서 최우수 더트 호스로 선정되었다.


3.3. 4세 (2003년)[편집]




고마 첫 경주인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서는 G1마가 8마리라는 호화 멤버들 사이에서 1번 인기로 출전했다. 최종 코너에서 선두의 카네츠 플뢰브를 따라잡았고, 비와 신세이키의 거센 추격을 받았지만 끝까지 버티고 목 차이로 승리를 거두며 4번째 G1 승리이자 첫 중앙 G1 승리를 가져갔다.

3월에는 두바이 월드컵 원정을 위해 출국했지만, 하필이면 그때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경유지인 싱가포르에서 두바이로 가는 항공편이 취소되고 말았다. 두바이 월드컵 대회 자체는 정상적으로 진행됐지만 정작 두바이로 가지 못하게 되면서 결국 단념하게 되었다. 일본으로 돌아온 골드 알뤼르는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G3)에서 이글 카페를 8마신 차이로 가볍게 이겼다.

6월에는 제왕상에 출전했지만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11착으로 밀렸다. 이후 검사에서 천명증으로 판명났고, 복귀를 위해 재활에 들어갔지만 증상이 악화되어 그대로 은퇴했다.


3.4. 종마 시절[편집]



연도교배
두수
자마
두수
교배료
(만 엔)
Sire
순위
계양처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2004~2017)
2004147-200[조건A]-
200518985150[조건A]-
2006136122150[조건A]-
200713283120[조건A]97
200820490300[조건A]27
2009186143300[조건A]17
2010207117300[조건A]18
2011144153300[조건A]15
201218095250[조건A]14
2013160126200[조건A]11
2014188112200[조건A]10
2015191127300[조건A]10
2016141131300[조건A]12
2017691300[조건B]9
2018-410
[출처]


2004년부터 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했다. 첫해 산구부터 에스포와르 시티, 스마트 팔콘 등 G1마만 3마리를 배출했으며, 그 후로도 일본 최다 G1 우승마 (11승)인 코파노 리키, 초대 코리아컵 우승마 크리솔라이트 등 우수한 더트마들을 배출했다. 2022년에는 나란 훌레그가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을 우승하면서 잔디 G1마를 배출하는데도 성공했다.

2017년에 18세의 나이로 심장질환으로 죽었다.


3.4.1. 주요 산구[편집]


2005년산

2010년산

2012년산

2013년산

2014년산

2016년산


3.4.2. Broodmare Sire(BMS) 산구[편집]


2015년산

4. 여담[편집]


  • 한 성깔 나오기로 유명한 선데이 사일런스의 자마답지 않게 성격은 온순했다고 한다.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01년 (2세)
11.11교토2세 신마잔디 1800m5.332착쿠마자와 시게후미야마닌 세라핌
11.25교토2세 신마잔디 1800m1.411착(암피트리온)
12.23나카야마호프풀 스테이크스OP잔디 2000m1.914착타케 유타카타이거 카페
2002년 (3세)
1.26코쿠라쿠스노키상500만잔디 1800m2.213착우치다 코이치타케하나 오페라
2.23나카야마스이센상500만잔디 2200m5.025착고토 히로키대디스 드림
3.9한신유키야나기상500만잔디 2000m3.614착쿠미자와 시게후미유우 캐럿
4.13한신3세 500만 이하더트 1800m4.521착우에무라 히로유키(마이네르 디바인)
4.27교토탄고 스테이크스OP더트 1800m2.411착(카이트 힐 윈드)
5.26도쿄일본 더비GI잔디 2400m48.1135착타니노 김렛
7.4오이재팬 더트 더비JpnI더트 2000m1.511착타케 유타카(인터 타이요)
9.23모리오카더비 그랑프리JpnI더트 2000m1.111착(스타 킹 맨)
11.23나카야마재팬 컵 더트GI더트 1800m2.625착이글 카페
12.29오이도쿄 대상전JpnI[4]더트 2000m1.511착(비와 신세이키)
2003년 (4세)
2.23나카야마페브러리 스테이크스GI더트 1800m3.111착타케 유타카(비와 신세이키)
4.27교토안타레스 스테이크스GIII더트 1800m1.411착(이글 카페)
6.25오이제왕상JpnI더트 2000m1.1111착네임 밸류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로 창설
1984
로바리아 아몬
1985
앙드레 아몬
1986
하츠노 아모이
1987
리키산 파워
1988
로만 프린스
1989
벨벳 글로브
1990
카리브 송
1991
나리타 하야부사
1992
러시안 골드
1993
메이쇼 호무라
중앙 GII 승격 후
1994
치어스 아톰
1995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호쿠토 베가
중앙 GI 승격 후
1997
신코 윈디
1998
구르메 프론티어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윙 애로우
2001
노보 트루
2002
아그네스 디지털
2003
골드 알뤼르
2004
어드마이어 돈
2005
메이쇼 볼러
2006
카네 히키리
국제 GI 지정 후
2007
선라이즈 바커스
2008
버밀리언
2009
석세스 브로켄
2010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트랜센드
2012
테스타 마타
2013
그레이프 브랜디
2014 · 2015
코파노 리키
2016
모아닌
2017
골드 드림
2018
논코노 유메
2019
인티
2020
모즈 애스콧
2021 · 2022
카페 파라오
2023
레몬 팝


파일:nar_clear1.png 재팬 더트 더비
(통일 GI)
우승마
파일:도쿄도 도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nar_clear1.png 더비 그랑프리
(통일 GI)
우승마
파일:이와테현 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86
파일:도쿄도 문장.svg 토미 알코
1987
파일:도쿄도 문장.svg 스타 돌
1988
파일:도쿄도 문장.svg 아에로플란
1989
스위프트 세이 다이
1990
샌드 리즌
1991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리버스톤 킹
1992
파일:기후현 문장.svg 토미시노 포룬가
1993
파일:가나자와시 시장.svg 미스터 루돌프
1994
블랙 크로스
1995
파일:기후현 문장.svg 루이 보스 골드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이시노 선데이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티엠 메가톤
199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나리타 호마레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이키 헤라클레스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레귤러 멤버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무가무추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알뤼르
200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유토피아
200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퍼스널 러시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네 히키리
200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맨 오브 퍼서
더트 그레이드 지정 취소 후
2007
하루 산히코
2008 · 2009
없음
2010
록 핸드 스타
2011
카미노 누보
2012
로소 코르사
201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제너럴 그랜트
2014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드래곤 이어
201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스투디움
이와테현 경마 조합 자체 등급 M1 지정 후
2016
파일:도쿄도 문장.svg 트로바오
2017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슈퍼스티션
2018
차이야품
2019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린노 레전드
2020
프레차 비앙카
2021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기가 킹
2022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실 트 플레
2023
파일:도쿄도 문장.svg 믹 파이어
2023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파일:nar_clear1.png 도쿄대상전
(통일 GI)
우승마
파일:도쿄도 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5
미스 아사히로
1956
켄 치카라
1957
이치칸토
195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다이니 코토부키
1959
댄서
1960
온슬로트
1961
사키 미도리
1962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다이산 코토부키
1963
신닛케이
1964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오리온 호스
1965
오샤치
1966
고카이 오지
1967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히가시 조오
1968
아시야 후지
1969
야시마 내셔널
1970
다이니 헬스 오
1972.0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후지 프린스
1972.12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플루 패스트
1973
히데 무사시
1974
토도로키 무사시
197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스피드 파시아
1976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파인 포트
1977
토도로키 히류
1978
하츠시바 오
1979
에비 치카라
1980
토케이 호프
1981
아즈마 킹
1982
트러스트 호크
1983
산 오이
1984
테츠노 카치도키
1985
스즈유
1986
카운티스 업
1987
테츠노 카치도키
1988
이나리 원
1989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로지타
1990
다이코 갈단
1991
볼드 페이스
1992
달러 오칸
1993
화이트 실버
1994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돌핀 보이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보사츠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교토 시티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토요 시애틀
199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아부쿠마 포로
199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월드 클릭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토호 엠퍼러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알뤼르
200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타 킹 맨
2004 · 200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200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200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네 히키리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석세스 브로켄
201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마트 팔콘
국제 GI 승격 후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마트 팔콘2연패
201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로만 레전드
2013 · 201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사운드 트루
201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아폴로 켄터키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8 ~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4연패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우슈바 테소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96
테세우스 프리세
1997
엠아이 블랑
1998
와일드 블래스터
1999
오스미 제트
2000 · 2001
스마트 보이
2002
하기노 하이 그레이드
2003
골드 알뤼르
2004
타임 패러독스
2005
핏 파이터
2006
피프티 워너
국제 G3 지정 후
2007
와일드 원더
2008
원더 스피드
2009
워 택틱스
2010
다이신 오렌지
2011 · 2012
골트 블리츠
2013
홋코 타루마에
2014
나무라 빅터
2015
쿠리노 스타 오
2016
어워디
2017
몰토 베네
2018
그레이트 펄
2019
어나더 툴스
2020
웨스터룬드
2021
티오 케인스
2022
오메가 퍼퓸
2023
프로미스트 워리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2:54:22에 나무위키 골드 알뤼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앙] A B [지방] A B [1] 정작 선데이 사일런스는 현역 시절에 더트만 뛰었다.[2] 현재의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같은 조건으로 시행했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현행 호프풀 스테이크스의 전신은 한신 경마장에서 열렸던 라디오탄파배 3세(2세) 스테이크스.[3] 2005년에 카네 히키리가 두 대회를 우승하면서 두번째 양대 더트 더비마가 되었다. 하지만 더비 그랑프리는 2008년에 폐지했고, 2010년에 부활하긴 했지만 모리오카 경마장의 자체 등급인 M1으로 시행하게 되면서 양대 더트 더비마는 더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조건A] A B C D E F G H I J K L M 수태 확인 후[조건B] 수태 확인 후 ※FR특약 없음[출처] #[4] 2011년에 국제G1으로 승격했다